오늘은 include에 대해 공부해봤다. 생각보다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메서드라서 간단해보여도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서 정리해본다.
우선 include 는 무엇인가? 에 대해 mdn의 정의는 이렇다.
아래의 예시를 통해 설명해보겠다.
function test(str1,str2) {
return str1.includes(str2) // false
}
test('aBcDeFg','b')
이렇게되면 false가 이유는 간단하다.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. 우리는 익숙하게 대소문자가 달라도 같은 알파벳이라 같은것이다 라는 느낌을 쉽게 받는데 프로그래밍에서는 대소문자 또한 명확히 구분을 해줘야 인식할 수 있기때문에 대문자든 소문자든 같은 문자열로 바꿔줘야한다는 것이다.
function test(str1,str2) {
const a = str1.toLowerCase();
const b = str2.toLowerCase();
return a.includes(b); // true
}
test('aBcDeFg','b')
이렇게 한다면 모두 소문자로 변환을 했으니, str2('b')가 str1('abcdefg') 에 포함되어있으니 true가 반환되는 것이다.
true 또한 false 로 내려받을 수 있기때문에 프로젝트에서 받아온 데이터에 특정한 데이터가 포함되어있어야 그 데이터를 내려주는 로직 같은거에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.
'리액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 공부 (1) | 2024.12.19 |
---|---|
tanstackquery [useInfiniteQuery] (0) | 2024.12.19 |
slice() vs splice() (0) | 2024.12.16 |
useState 이해하기 (1) | 2024.12.16 |
Object / Array 구조분해할당 (2) | 2024.1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