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액트로 혼자 사이드프로젝트를 할 때에는 서버api를 어떻게 만들어야할까? 라는 생각이 들었다.
만약 서버api까지만든다면 풀스택인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 때 firebase가 생각이 났었는데, 이 와 비슷한 supabase 라는 Baas를 알게 되어 적어볼까 한다.
우선 supabase란?
- Supabase는 오픈 소스 기반의 백엔드 서비스로,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다. Supabase는 개발자가 신속하게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, 인증, 스토리지, 실시간 기능 등을 제공한다.
- Supabase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으며,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.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버를 호스팅하고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발자는 더 적은 노력으로 안정적인 백엔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.
-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기반으로 RESTful API가 자동으로 생성되어, 간편하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.
그러면 firebase 와 supabase의 차이점은?
supabase
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PostgreSQL)이다.
- RESTful API을 자동생성한다.
- 실시간 기능을 지원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.
- 오픈소스이다.
firebase
- NoSQL 데이터베이스이다.
- Firebase SDK 및 REST API이다.
- Firestore의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지원한다. (google)
- Firebase Hosting을 제공한다.
각 두개의 서비스마다 지원하는 차이가 있고 좀 더 커뮤니티를 많이 참조할 수 있는건 firebase이다. 하지만 api를 만들어 조회하고 하는 횟수가 supabase는 무제한인 반면에 firebase는 제한적이다. firebase가 가지고 있는 장점도 있고 supabase가 가지고 있는 장점도 있지만 사실 개인 사이드프로젝트를 하면서 어떤 걸 사용하든간에 똑같을 꺼 같긴하지만 각각의 목적성에 맞게 사용하면 될 듯 하다.
다음에는 supabase에 가입하여 React 프로젝트에 세팅하는 방법과 사용법을 적어볼까 한다.
'리액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명령어로 파일생성하기 (0) | 2025.01.10 |
---|---|
React Context (0) | 2025.01.03 |
react useHook - useRef (0) | 2025.01.01 |
프론트 FSD Pattern 에 대해서 (0) | 2024.12.31 |
input type radio (0) | 2024.12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