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과제를 하면서 유효성 검사를 했다. 에러핸들링이라고 하는데 많은 검사를 하다보니 코드도 길어지고 상황을 추가하다보니 헷갈리고 어려워지는것 같다. 먼저 Try~ Catch문으로 에러상황 들을 추가하였다. // 에러핸들링 try { if (!req.body) return res.status(412).json({ errorMessage: "데이터형식이 올바르지 않습니다." }); // 요청한 body값이 없으면 if (!title) return res.status(412).json({ errorMessage: "게시글 제목의 형식이 일치하지 않습니다." }); // title값이 없으면 if (!content) return res.status(412).json({ errorMessage: "게시글 내용..